목록전체 글 (36)
Blog

6 Pager 개요6 pager는 아마존의 의사소통 방식이 드러나는 문서 형식 중 하나논리와 아이디어로 설득하는 문서, 이해관계자 간의 이해도 일치, 빠르고 명확한 의사결정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주고자 하는지 명확한가?Perplexity의 요약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참고자료 링크도 있다. 구글에 검색하면 이미 좋은 글들이 많다.1. 정의6 Pager(식스 페이저)는 아마존에서 시작된 문서 기반 회의 문화로, 발표자가 파워포인트(PPT)로 발표하는 전통적 방식 대신, 6페이지 분량의 서술형 문서를 모든 참석자가 조용히 읽고 토론하는 방식의 회의 문서 체계입니다. 이 문서는 사업 계획, 신제품 제안, 전략 검토 등 중요한 의사결정에 활용되며, 논리적이고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아이디어의 본질을 전달하는 데 ..

개인적인 후기입니다.오늘의 메뉴 : 칠리 찹쌀탕수육도련님구성 : 마요네즈마카로니(+맛살), 단무지, 김치, 샐러드, 밥, 찹쌀탕수육, 돈까스 + 칠리소스가격 : 4,500원생각- 단체급식에서 먹던 탕수육이다. 꿔바로우 느낌나는 쫀득한 찹쌀탕수육은 아닌 것 같다- 칠리소스는 계속 먹다보면 조금 매콤하다 (글쓴이는 신라면은 맵지 않고 불닭은 맵다)- 돈까스에도 칠리소스를 뿌리게 되는데, 별미다. 느끼하지 않아서 좋음참고1.매일 가니까 좀 부끄러워서 다른 지점도 번갈아가며 가볼 예정참고2.음식이 맛없어 보이는건 오늘 조명 잘못이다.참고3. 한솥 메뉴판 (2025.05 기준)** 빨간색 동그라미 : 블로그 후기 올린 메뉴. 1일 1메뉴 중

지극히 주관적인 의견을 담은 개인적인 기록입니다. 입맛에는 옳고 그름이 없음. 오늘의 메뉴 : 돈까스도련님구성 : 마요네즈마카로니, 단무지, 김치, 샐러드, 밥, 가라아게, 떡갈비, 돈까스가격 : 4,900원생각- 돈까스도련님은 치킨마요와 함께 한솥의 시그니처라고 생각한다.- 내가 가는 지점에서 튀김 조리를 잘 하는 것 같다. 전반적으로 퍽퍽하지 않고 부드러움- 가라아게, 떡갈비, 돈까스 3가지를 한 번에 먹을 수 있어 질리지 않음 (한 가지만 먹어도 질리지는 않는다)참고 1.한솥 메뉴판 (2025.05 기준)참고 2.글쓴이 입맛 : 주어진 음식은 다 잘 먹음. 맛보다는 양. 가격도 싸면 더 좋다.

책 [웹 API 디자인] 을 읽고 Claude와 함께 요약한 글입니다.책 링크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555532 웹 API 디자인 | 아노드 로렛 - 교보문고웹 API 디자인 | 일상 속에서 찾는 웹 API의 디자인 원리웹 API는 새로운 서비스나 앱을 만들 때 기존에 존재하던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굳이 기존 서비스에 대한 자product.kyobobook.co.krAPI 디자인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웹 API는 다양한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통신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중요한 인터페이스입니다. 이 글에서는 API 디자인의 기본 개념부터 실제 구현 방법까지 살펴보겠습..

(글 몇 개를 이해한대로 정리/조합한 결과물입니다. 원문의 링크는 아래에 있습니다.) PMF를 달성했다는 것은 달성 시점 현재 기업의 제품이 강한 시장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상황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말하면 "시장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들고 좋은 시장에 안착한 상태"라는 의미로, 이제는 규모를 키울 준비가 되었다는 말이다. PMF는 성장 그래프에서 J 커브 지점과 동일시된다. PMF 이후에는 성장의 속도가 가팔라지기 때문이다. 왼쪽 그래프에서 PMF를 찾으려면 기울기가 가팔라지기 시작한 한 점을 찍을 수 있다. 제품의 성숙도를 세로축에 두고 시간에 따라 그래프를 그리면 PMF는 구간으로 나타난다. 작은 범위의 고객에 대한 FIT에서 시작해 넓은 범위의 고객에 대한 PMF를 달성하기 위해 제..

W8D1, W8D3 DAILY 과제입니다. 프로덕트 명: 카찹 유저스토리를 바탕으로 백로그를 만든다. 백로그를 '테스크'화 할 때는 유저의 이야기와 더불어 이해관계자의 이야기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유저의 니즈를 실현 가능한 과제로 바꾸어야 하기 때문이다. 유저스토리 만들기 유저(=작성자) 요구사항 해석하기 여기서 상품 개발자의 입장은 배제하도록 하겠다. (얻을 수 있는 데이터의 한계, 화면에 보여지는 정보의 수는 일단 생각하지 않는다.) 1. 킥보드 앱에 보이는 예상시간과 대중교통 탭에서 보이는 예상시간이 다르다. 사용자는 이동 예상시간에 맞춰 출발 시간을 정하고 싶다. 만약 시간이 촉박하다면 킥보드 대신 택시를 선택할 것이고, 시간이 여유롭다면 걷기를 선택할 것이다. 그렇다고 예상시간 자체의 정확..

W8D4 DAILY 과제입니다. 일주일에 한번 있는 주간 업무 회의, 업무일지, 메일쓰기로는 애자일하게 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아무래도 서로 하고 있는 업무를 실시간으로 파악, 트래킹하고 적극적으로 소통하기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이다. IT 스타트업 채용공고를 보다보면 팀에서 쓰고 있는 업무 툴, 프레임워크에 대해 설명하고, 사용 경험이 있는 지원자를 우대한다는 문구를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오늘 살펴볼 애자일 관리도구는 Jira 관리도구의 목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다. https://www.atlassian.com/software/jira/guides How to Use Jira Software | Official Buyer & User Guide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

W8D2 DAILY 과제입니다. 스크럼 가이드(한국어 번역 버전 있음) https://scrumguides.org/download.html Download | Scrum Guides scrumguides.org 스크럼 스크럼은 빠르게 변화하는, 복잡한 환경에 대응하면서 최대한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일하는 방식이다. 상황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 경험 중심의 의사결정이 필요하고, 복잡한 환경에서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본질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경험 가능한 근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하기 때문에 성과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 예측의 정확성이 높다는 것은 예상치 못한 일, 즉 리스크를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제가 가능하면 본질이 아닌 것에 대한 낭비를 최소화하여 효율적으로 가치 창출이..